'깡통전세' 피하는 두 가지 방법은?
이데일리 김경원 입력 2013.09.23 11:27
[이데일리 김경원 기자]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사는 직장인 김모(43)씨는 1년 전 D아파트(시가 5억원)에 2억5000만원을 내고 전세계약을 맺었다. 당시 아파트에는 담보대출이 약 2억원가량 있었지만 급한 마음에 계약 체결을 서둘렀다. 불과 1년 만에 아파트 시세는 20% 정도 하락해서 현재 4억원대로 주저앉았다. 김씨는 전세 만기까지 아직 1년이 남아 있어서 집값 하락에 노심초사하고 있다. 자칫 경매로 넘어가면 전세보증금의 상당 부분을 잃을 수 있다는 걱정 때문이다.
은행 대출을 받거나 전세를 끼고 집을 샀는데 대출과 임대보증금 총액이 집값의 70%를 넘어서는 집은 보통 '깡통전세'라고 일컬어진다. 깡통전세 세입자들은 전세보증금을 온전히 돌려받지 못할 수도 있다.
최근 깡통전세의 위험이 커지면서 '전세금 보증보험'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전세금 보증보험은 민간회사인 '서울보증보험'과 정부 주도의 '대한주택보증'이 진행 중이다.
두 기관이 내놓은 상품의 차이점은 오피스텔의 전세금 보증보험 가능 여부다. 오피스텔에 전세로 들어간다면 대한주택보증을 활용해야 한다. 오피스텔은 서울보증보험의 보험대상에서는 제외돼 있다.
가입 가능 비율도 따져봐야 한다. 아파트 전세입자가 서울보증보험을 활용하면 전세금의 100%까지 가입할 수 있다. 반면 대한주택보증은 전세금의 90%가 보험 가입 한도액이다. 대한주택보증은 서울보증보험보다 보증 한도가 낮은 반면 보험료는 절발가량 저렴하다.
두 상품은 모두 집 주인의 동의를 구해야 한다. 홈페이지에서 양식을 내려 받아 전세계약서와 동일한 집주인의 도장이나 날인을 받으면 된다. 또 반전세처럼 보증금으로 설정된 금액도 가입할 수 있다.
이들 상품은 전세계약 체결 후 3개월 이내에 가입해야 하고 전세 만기 후 한 달이 지나도 집주인이 전세금을 반환해주지 않으면 두 회사가 대신 전세금을 돌려준다. 이후 두 회사는 집주인에게 구상권을 행사한다.
전세입자는 보험 가입 전에 보증 한도가 KB국민은행 시세로 결정된다는 점도 유념해야 한다. 예를 들어 KB 시세가 5억원인 아파트에 담보대출이 3억원이 있다면 5억원에서 3억원을 제외한 2억원까지 전세금 보증보험이 가능하다.
이지훈 유형별자산관리연구소 소장은 "세입자는 담보대출과 전세금을 합한 금액이 낮은 집을 찾는 것이 좋은 선택이지만 이런 집을 찾기란 쉽지 않다"며 "전세에 들어가려는 사람들은 이런 제도를 활용하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원 (kimhy38@edaily.co.kr)
▶ 이데일리 모바일 뉴스앱 개편 기념! 다운만 해도 매일 경품 증정!
▶ 스마트 경제종합방송 이데일리 TV
▶ 실시간 뉴스와 속보 ' 모바일 뉴스 앱 ' | 모바일 주식 매매 ' MP트래블러Ⅱ '
▶ 전문가를 위한 국내 최상의 금융정보단말기 ' 이데일리 마켓포인트 2.0 '
▶ 증권전문가방송 ' 이데일리 on ', 고객상담센터 1666-2200 | 종목진단/추천 신규오픈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은행 대출을 받거나 전세를 끼고 집을 샀는데 대출과 임대보증금 총액이 집값의 70%를 넘어서는 집은 보통 '깡통전세'라고 일컬어진다. 깡통전세 세입자들은 전세보증금을 온전히 돌려받지 못할 수도 있다.
최근 깡통전세의 위험이 커지면서 '전세금 보증보험'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전세금 보증보험은 민간회사인 '서울보증보험'과 정부 주도의 '대한주택보증'이 진행 중이다.
두 기관이 내놓은 상품의 차이점은 오피스텔의 전세금 보증보험 가능 여부다. 오피스텔에 전세로 들어간다면 대한주택보증을 활용해야 한다. 오피스텔은 서울보증보험의 보험대상에서는 제외돼 있다.
가입 가능 비율도 따져봐야 한다. 아파트 전세입자가 서울보증보험을 활용하면 전세금의 100%까지 가입할 수 있다. 반면 대한주택보증은 전세금의 90%가 보험 가입 한도액이다. 대한주택보증은 서울보증보험보다 보증 한도가 낮은 반면 보험료는 절발가량 저렴하다.
두 상품은 모두 집 주인의 동의를 구해야 한다. 홈페이지에서 양식을 내려 받아 전세계약서와 동일한 집주인의 도장이나 날인을 받으면 된다. 또 반전세처럼 보증금으로 설정된 금액도 가입할 수 있다.
이들 상품은 전세계약 체결 후 3개월 이내에 가입해야 하고 전세 만기 후 한 달이 지나도 집주인이 전세금을 반환해주지 않으면 두 회사가 대신 전세금을 돌려준다. 이후 두 회사는 집주인에게 구상권을 행사한다.
전세입자는 보험 가입 전에 보증 한도가 KB국민은행 시세로 결정된다는 점도 유념해야 한다. 예를 들어 KB 시세가 5억원인 아파트에 담보대출이 3억원이 있다면 5억원에서 3억원을 제외한 2억원까지 전세금 보증보험이 가능하다.
이지훈 유형별자산관리연구소 소장은 "세입자는 담보대출과 전세금을 합한 금액이 낮은 집을 찾는 것이 좋은 선택이지만 이런 집을 찾기란 쉽지 않다"며 "전세에 들어가려는 사람들은 이런 제도를 활용하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데일리 모바일 뉴스앱 개편 기념! 다운만 해도 매일 경품 증정!
▶ 스마트 경제종합방송 이데일리 TV
▶ 실시간 뉴스와 속보 ' 모바일 뉴스 앱 ' | 모바일 주식 매매 ' MP트래블러Ⅱ '
▶ 전문가를 위한 국내 최상의 금융정보단말기 ' 이데일리 마켓포인트 2.0 '
▶ 증권전문가방송 ' 이데일리 on ', 고객상담센터 1666-2200 | 종목진단/추천 신규오픈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주요 뉴스
- 미분양에도 서서히 온기, '계약합시다'동아일보
- '집값 바닥권… 올해안에 사는 게 좋..중앙일보
- 서울시 정비사업 '중소형 아니면 안합니다'아시아경제
- 수도권 미분양 무덤에도 '볕' 드나?세계일보
- 용인지역 도시개발사업 잇단 백지화뉴시스
관련 뉴스
오늘의 주요뉴스
미디어다음 경제- 서울시, '중소형 아니면 안해'
- 전월세 상한제의 함정
- 용인지역 도시개발사업 잇단백지화
- 임대주택 부정입주자 60% '사망자'
- 외국인 대상 '깔세 렌탈' 인기
- 저성장시대, 부동산펀드 깃발꽂기
- 전문가 73% '집값상승 3%↓'
- 미분양에도 서서히 온기가?
- 부동산 실거래 허위신고 매년증가
- '깡통전세'를 피하는 방법은?
부동산 이슈보기
- 저축銀, 햇살론 추가출연금에 반발
- 대부업체, 저축銀 인수조건 까다롭다..
- 보험사기 신고 포상금 14억원 지급
- 금감원 제주출장소, 사무소로 승격
- 경남-광주은행 인수전 경쟁구도 전망..
- 금융사 광고 규제 강화 법안 발의
- 보험사·설계사 위탁관계 내용 확인
- 사채 끌어들인 불법 저금리 전환 대..
- 보험업계, 베트남 동남아시장 교두보..
- 제일모직, 패션사업 에버랜드에?
금융 이슈보기
광고 Area
Daum Common Footer
서비스 약관/정책 | 권리침해신고 | 부동산 고객센터 | 부동산 문의하기
Daum부동산은 중개업소 및 개인회원이 등록하는 매물정보가 노출될 수 있도록 광고 플랫폼 및 관련정보를 제공하며,
중개업소 및 개인회원이 Daum부동산에 등록한 매물정보 및 이와 관련한 실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Copyright (c) Daum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Daum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매 거래 시 안전하게 거래하는 방법 (0) | 2013.11.29 |
---|---|
집이 팔리면 비워준다던 세입자가 못나간다고 하면? (0) | 2013.09.28 |
부동산규제 풀어야 경기 살아날수 있다 (0) | 2013.09.16 |
[스크랩] 현직 공인중개사가 보는 박근혜 정부의 부동산 정책의 문제점. (0) | 2013.08.23 |
관광객 1000만 시대 게스트하우스 투자법..노후주택 리모델링해 연 10% 너끈 (0) | 2013.06.20 |
네티즌의견
내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