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집마련] 전원주택 -조립식 주택 시공 과정 -사진으로 설명 / 시골기차[2]

시골기차가 직접 시공한 주택 입니다.(철골조+경량철골조) 조립식주택. 30평 이상 주택에서 외장 내장 창호를 같은 사양으로 했을때 경량목조, 철근콘크리트 보다 평당 100만원 내외로 저렴하게 시공됩니다. 조립식주택의 벽체 시공에서 04damoa system은 통풍, 습기, 습도 조절은 물론 단열,내구성,미관등의 공사에 꼭 필요한 시공 방법입니다.
경기도 이천 호법 48평 시공시 기초공사
아산시 영인면 성내리 30평 시공 기초공사
기초 바닥 건축법에서 적용되는 바닥에 비닐+ 단열재 100mm 철근 콘크리트 단층은 10mm * 300@ 로 배근 높이 400mm-450mm 여기서 2층이 시공되는 바닥 부분은 13MM철근 복배근을 권장합니다.
골조 = 아연도 형강 100mm , C 형강 트러스 // 경남 사천 골조공사
난연 2급 판넬 두깨 적용은 지역에 따라 지붕 125MM-200MM 벽체 100MM-150MM 적용됨 조립식주택의 벽체구성 및 단열은 그 어떤 주택보다 월등하므로 걱정할 필요가 없는데 주택은 통풍 결로 등을 각별하게 유념하여 시공하여아 합니다. 오랜 경험에 의한 시공방법인 04DAMOA SYSTEM 은 당사의 경험적 기술로 주택의 크기, 지붕의 모양(형태) 공기층의 크기에 따라 통풍유입의 그 적용방법이 다릅니다
완성된 주택 :경남 사천
창원북면 신촌리
조립식주택의 실내(변형이 없는 자재로 집을 구성하면 집은 하자가 없습니다)
콘크리트 주택을 짓는 시공자는 콘크리트 외 주택도 아니다 라고 하고 경량목조 주택을 짓는 시공자는 친환경 어쩌고 저쩌고 하면서 조립식주택은 집도 아니다라고 하고 시골기차의 글을 읽어 보신 분은 공감은 하면서 반신반의 하게 됩니다.
어떤 업체는 온갖 특허라는 특허는 다 올려놓고 믿음을 강요하지만 깜빡 속아 넘어가기 쉽습니다.
집의 구성은(크게 나누면 이렇게 공종별로 분류됩니다) 기초부분 ; 옛날에는 레미콘(콘크리트) 값이 인건비보다 훨씬 높아서 기초에 옹벽을 만들어 줄기초에서 >>>지금은 통매트로 1층주택 400mm * 10mm*300@) 2층주택 400mm*13mm*300@ 복배근 로 해도 그 기초가 침하된다든지 금이 간다든지 하는 의심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골조부분 = 집의 구성조건 이부분이 원목조(한옥), 콘크리트조, 경량목조, 철골조, 경량철골조, alc벽돌조, 황토목조, 황토경량철골조등으로 분류됩니다 벽체 = 경량목조, 스틸하우스(스터드 볼트형) = 인슐레이션(유리섬유)+ OSB합판(나무가루압착)+타이백(투습방지용) 경량철골조(조립식주택) =샌드위치 판넬(난연2급,난연3급, 일반) = 판넬 자체가 단열재 자체이므로 상기 과정이 필요없슴
외장 = 같은 자재로 시공시 비슷한 시공비 투입됨(적벽돌, 파벽돌, 스타코, 시멘트사이딩,등) 지붕 = 슁글,기와, 너무 다양해서...일일이 기재를 못함 실내인테리어= 예산에 따라 달라짐 창호 방문 =예산에 따라 달라지는데 대한민국 기후 날씨로 봐서는 (KCC,LG, 더존해안창 등 꼭 시스템이 아니라도 충분하고 넘침) 집의 모양 : 가능한 심플한 주택일 수록 그 주택은 하자없고 오래가고 시각적으로 지겹지 않으며 오랜 세월이 지난 뒤에도 항상 그모습이며 유행에 치우치지 않습니다
그리고 사용되는 자재 하나 하나가 변형이 오가는 자재의 선택은 신중해야 하는데 그 자재의 변형을 막는 여러가지 시공비용 때문에 결국 건축단가는 올라가고 정작 친환경이 우리의 일상생활에 적용이 어떻게 되는 가를 짚어 봐야 합니다
자재의 특성을 살펴 보시면 금방 해답이 나옵니다
열과 냉기를 흡수하는 자재 =콘크리트,적벽돌, 황토벽돌,대리석, ==단단해 보이지만 이 열과 냉기를 어떻게 차단하느냐 그리고 콘크리트의 독성은 어떻게 차단할것인가? 고민해야 하고 그것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있을까? 습을 좋아 하는 자재 = ALC벽돌, 목재, 황토벽돌, 그리고 정도는 약하지만 콘크리트 등 이 투습을 어떻게 막아야 할것인가? 목조는 공기중에 습기도 흡수하고 발산하므로 염두에 둬야 합니다. 불과 10년전에 여름과 겨울의 방문(목문)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 됨. 샌드위치 판넬(난연2급.3급, 일반, 우레탄판넬)등 = 양쪽이 아연도 강판으로 그 사이에 스치로폼 단열재로 만들어진 자재) 단열은 최상이며 이음시 정밀시공이 요구되며 건강에는 오히려 해도 덕도 안주는 최첨단 자재인데.. 이 자재가 한 때 판넬로만 집을 짓다 보니 너무 허접했는지라....아직도 바람불면 날아갈까, 불에 훅 타버릴까? 등등... 남의 시선과 저렴하게 지으면 누가 없신 여길까봐... 결코 아니니 집은 위의 자재 특성들이 있어서 그 자재의 특성(습기나 냉기 열기 흡수)를 보완 보강하려 할때 건축비는 상승하게 됩니다.
건강은 기존자재가 품고 있는 독성과 실내 인테리어가 좌우합니다, 이것역시 보강을 하려 할때 건축비는 상승하며
특히 내구성은...철골조+경량철골조가 단연 으뜸입니다. (지진, 태풍, 시간경과에 따른 변형여부)
집은 첫째도 둘째도 살고있는 자신이 편안하고, 평면의 동선이 좋아야 넓은 공간이 확보되며 특히 미로형 주택은 얼마 안가서 불편함이 옵니다. 단열과 습도조절, 통풍등에 가능한 최상의 배치를 해야 하며 창문은 방 하나에 하나이면 충분하고 채광이 좋은 방향으로 배치하면..가장 좋은 집이 됩니다. 계약 체결시 시골기차가 직접 건축주와 함께 현장을 보고 함께 앉아 오랜경험을 바탕으로 평면 입면을 설계해 드립니다.(인허가는 별도)
팁_전망좋은 전원주택이 남향으로 배치되면 금상첨화지만 그렇지 않은경우는 창의 배치를 전망좋은 곳으로 하고 가능한 채광이 되는 방향으로 설계를 하여야 합니다.
아산시 배방읍 장재리 골조
벽체 완성 완성 입주 / 주변 평당 400만원-500만원주택과 견주어도 손색이 없으며 오히려 단열은 더 좋음
|
'건축,건설,토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체인톱은 안전과 유지보수 방법 -동영상 (0) | 2016.02.28 |
---|---|
체인톱 유지보수 사용법 (0) | 2016.02.02 |
조립식판넬가격표 (0) | 2016.01.18 |
무려 3년간 돌과 흙을 쌓아 지은 집 (0) | 2015.11.23 |
[내집마련] 황토 벽돌로 마감한 농가주택 리모델링 모범 사례 (0) | 2015.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