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17년까지 귀농·귀촌 15만가구 달성을 목표로 정책 지원을 확대키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9일 귀농·귀촌인이 겪는 가장 큰 애로점인 정보 부족과 초기 정착을 위한 주택·농지 문제, 지역민과의 갈등 문제에 주안점을 둔 '귀농·귀촌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귀농·귀촌 가구는 2001년 880호에서 2005년 1240호, 2009년 4080호, 지난해 2만7008호까지 늘어났다.
우선 정부는 귀농·귀촌인들의 정보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귀농·귀촌종합센터(www.returnfarm.com)의 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종합센터에서는 귀농귀촌에 대한 종합정보 뿐아니라 일자리 정보, 전국의 빈집현황, 한국농어촌공사의 임차농지 정도 등도 제공된다.
맞춤형 교육도 확대하기로 했다.
직장인·부부·직업 등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을 제공키로 했다.
지역민과의 갈등해소 프로그램을 보급하고 현장에 코디네이터를 양성해 멘토로서 귀농·귀촌인들의 정착을 돕기로 했다.
매년 두 개의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도 건립키로 했다.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는 귀농희망자가 1~2년 동안 가족과 함께 체류하면서 농촌을 이해하고 창업과정을 실습하는 공간이다.
올해 충북 제천과 경북 영주에 센터를 건립 중이다. 내년 하반기 중에 입주자를 모집할 계획이다.
한편 귀농·귀촌인들의 창업을 활성화 하기 위해 창업·주택자금의 융자조건을 완화했다. 농식품부는 지난 7월부터 다른 정책자금을 받은 경우에도 최고 2억4000만원까지 창업·주택자금 융자사업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지침을 개정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방안이 앞으로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과 이미 농촌으로 이주한 귀농·귀촌인의 안정적인 농촌 정착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mskang@fnnews.com 강문순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건축,건설,토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목수의 24.5평 전원주택 공사계획 [2] (0) | 2013.09.09 |
---|---|
경량기포 콘크리트 alc 주택 집짓기 (0) | 2013.09.09 |
노후생활을 위한 펜션 (0) | 2013.08.28 |
전원생활, 살아가며 해야 할 일들 (0) | 2013.08.20 |
전원주택 지하수 개발하기 (0) | 2013.08.16 |